[학술 논문] 한국 그림책에 나타난 귀신 등장인물 분석 [글 : 강다혜]
아동은 그림책을 통해 세상에 대한 지식을 구성하며, 그림책의 작가가 바라보는 세계에 대한 시각을 학습하게 되고, 더 나아가 현 시대의 문화를 내면화하게 된다. 그림책은 아동이 자신이 살고 있는 문화를 이해하고 용이하게 받아들이게 하는데 적절한 매체이다. 한국 그림책 중 사실 그림책은 한국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의 생활 전반을 현대 아동 독자에게 전달하고 있으며(심향분, 최경, 2013), 한국 문화 속에서 등장인물이 겪고 있는 다양한 사건과 일상을 아동이 현재 삶의 경험과 관련지어 공감하게 한다(오한나, 남현주, 2017). 최예린(2012)은 한국 그림책에 나타난 도깨비를 분석하며, 이는 한국 사람들의 집단 양식과 가치관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선행연구는 한국 작가가 만든 그림책에는 한국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사고와 관점이 나타날 것을 시사한다. 특히 한국의 귀신은 샤머니즘적 사고의 전제하에 있는 등장인물이며, 샤머니즘은 샤머니즘적 사상을 담고 있는 이야기를 통해 전승된다(전연우, 조희숙, 2015). 귀신은 아동에게 있어 공포의 주된 대상이다. 하지만 한국의 문화에서는 샤머니즘적 사고로 인해 귀신을 단순히 공포스러운 존재로만 생각하지 않는다. 한국 샤머니즘에서 귀신은 종교적 대상이다(김주성, 2009; 소재나, 2006; 양종승, 2013). 즉 한국 그림책은 귀신을 한국의 샤머니즘적 사고에 기초하여 묘사할 것이며, 이는 아동이 귀신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해야하는지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다..... more